응아니야의 잡다한 블로그

QSL 카드 모음

표준주파수국(HLA)에서 QSL 카드가 도착했습니다.

응아니ㅇㅑ 2025. 2. 27. 17:22

안녕하세요, 하루만에 다시 돌아온 응아니야입니다.

사실 이번 달 중순에 저번 글의 기독교방송 말고도 수신보고서를 몇 군데 더 보냈었습니다.

 

전파시계라고도 불리죠, 단파 5㎒로 출력되는 대전 표준주파수국(HLA)의 전파를 잡아서 한 번 우편으로 수신보고서를 보내보았습니다.

아쉽게도 녹음을 하질 못 해서 관련 영상은 추후 업로드하도록 하겠습니다.

 

역시 국내라 그런가요, 약 10일 정도만에 답신이 왔습니다.

 

 

예, 우선 봉투입니다.

보통 단파라디오의 수신확인증은 항공우편으로 가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항공우편용 봉투를 사용한 모습입니다.

근데 어째 클립이 끼워져 있더라고요. 저는 클립 같은 걸 보낸 적이 없는데 말입니다.

 

 

 

QSL 카드의 앞면입니다. 한국표준과학기술연구원 시간센터 건물과 표준주파수국 안테나가 인쇄되어 있습니다.

 

CQ Zone, ITU Zone, KDN 이라는 글귀가 눈에 띄는데요, 이는 해당 국(局)의 위치가 어디인지 알 수 있는 위치 코드입니다.

 

CQ Zone은 美 CQ 社가 전 세계에 임의로 부여한 지역번호입니다.

한반도와 일본 열도가 CQ Zone 25로 묶여있습니다.

ITU Zone은 국제전기통신연합 ITU에서 전 세계에 임의로 부여한 지역번호입니다.

한반도와 중국 동부가 ITU Zone 44로 묶여있습니다.

KDN은 Korean District Number의 약자로,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서 우리나라 전역에 임의로 부여한 지역번호입니다.

대전은 R로 시작하는 코드를 가집니다. 유성구는 R05가 되겠습니다. 제가 있는 경기도는 코드가 C로 시작합니다. 부천은 C05가 됩니다.

 

 

 

뒷면입니다.

Rig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지역으로 추측됩니다.

안테나 종류와 출력, 그리고 송출지 주소가 영문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수신일시, 주파수 등과 확인날짜, 담당자 서명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것들 말고는 표준주파수국이다 보니 이렇다 할 카탈로그나 편성표 등은 같이 오지 않았습니다.

 

 

글을 마치며

우리나라의 단파방송국은 아무래도 대북방송이 대다수이다보니 이렇게 국내 단파국의 수신확인증을 받아보는 것이 감회가 새롭습니다.

다음에 또 돌아오겠습니다.